
‘이유 있는 건축-공간 여행자’ 전현무가 새로운 건축인 부캐 ‘무현준’으로 활약했다.
첫 번째 가이드를 맡은 전현무는 서울 장충동에 있는 김수근의 역작 경동교회를 소개했다. 경동교회는 왜 김수근이 ‘빛과 벽돌의 건축가’로 유명한지 보여준 작품이었다.
전현무는 붉은 벽돌로 통일된 경동교회를 둘러보며, 벽돌의 거친 질감이 건물에 입체감을 준다고 설명했다. 열심히 공부해온 건축 지식들을 쏟아낸 전현무는 “우리 건축인들은~”이라고 너스레를 떠는가 하면, 스튜디오에 있는 유현준 건축가가 더 설명할 게 없다고 걱정하는 등 새로운 부캐 ‘무현준’으로 활약해 웃음을 자아냈다.
경동교회는 일반적인 교회와 달리 외관에 십자가, 창문, 정문이 드러나지 않는 ‘3무(無)’로 관심을 집중시켰다. 유현준은 이 설계에 경건하고 성스러운 의미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계단을 따라 예배당까지 오르는 과정은 ‘고개를 숙이며 신에게 다가가는 길’로 해석됐다.
성당 내부에 유일하게 존재하는 큰 창은 빛이 위에서 십자가를 비추도록 설계돼 시선을 사로잡았다. 유현준은 “건축물을 볼 때 인간이 주광성 동물이란 것을 잊어선 안 된다. 빛이 들어오는 쪽으로 시선이 모이고, 빛이 위에서 내려오면 고개를 들게 되면서 경외감을 느끼게 된다”라며, 건축가의 의도를 짚었다.
전현무와 박선영은 혜화역 앞 유명한 스팟에 자리한 옛 샘터사옥도 김수근의 건축물이란 사실에 깜짝 놀랐다. 이 근처에서 대학시절 2대 2 미팅을 했다는 전현무는 “헤어지는 길에 내가 준 삐삐 번호 쪽지 버리더라”라고 그녀를 떠올리며 눈가가 촉촉해졌다.
만남의 장소였던 전현무의 슬픈 추억이 깃든 공간에도 건축가의 의도가 있었다. 유현준은 “김수근 선생이 대학로에서 작업을 할 때 공공성에 대해 많이 생각했다”라면서, 건물과 건물 사이 공간, 건물 아래로 관통하는 길을 내어 시민들이 더 잘 이용하도록 만든 의도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박선영은 신인 김수근을 알린 초기 작품, 1969년 완공된 남산 자유센터(전 한국자유총연맹)을 소개했다. 자유센터는 군사정권시기 반공 이념을 시각화한 국가 주도 건축물로, 위엄을 느끼게 하는 대칭구조, 권위가 느껴지는 후문의 높고 긴 계단 등이 시선을 사로잡았다.
역사학자 김재원은 “군사정권 시절 국가 프로젝트를 수행한 건축가라는 비판적 시선도 있다”며, 여전히 의견이 분분한 김수근이 설계한 남영동 대공분실을 그 예로 들며 엇갈린 평가를 말했다. 공포감을 주는 남영동 대공분실의 공간적 특징도 소개됐다.
송미희 기자
bnt뉴스 연예팀 기사제보 star@bntnews.co.kr